General cancer information

메스꺼움과 구토 (Nausea and vomiting)

General cancer information

메스꺼움과 구토 (Nausea and vomiting) star_border Save this page

메스꺼움은 속이 좋지 않다고 느끼는 상태이고 구토는 구역질을 하는 (토하기)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특정 암, 일부 암 치료 또는 기타 건강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나 암이 메스꺼움과 구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사는 구토방지 약을 제공합니다.

구토할 같은 느낌이 없더라도 처방된 대로 구토방지 약을 복용하십시오. 메스꺼움과 구토는 예방하는 것이 일단 시작된 후에 멈추는 것보다 훨씬 쉽습니다.

예상되는 사항

모든 치료법이나 암이 메스꺼움과 구토를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사나 간호사에게 당신이 이러한 증세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지, 어떻게 이를 관리해야 하는지 문의하십시오.

구토방지 약 이해하기

메스꺼움과 구토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사는 구토방지 약을 처방할 것입니다. 복용하는 약과 그 약의 복용 방법을 확실히 주지하도록 하십시오.

구토방지 약에 대한 질문이 있는 경우 의사, 간호사 또는 약사에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증상 일기 쓰기

환자가 증상을 계속 기록하면 자신뿐만 아니라 담당 암 치료 팀이 그 증상들을 더 잘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 공책에 일기를 쓸수도 있고, 의사나 간호사가 추천하는 일기 형태가 있는지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매일, 자신에게 생기는 증상, 증상 발생 시간, 지속 시간, 증상의 정도를 기록합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 경우 누구에게 연락할지를 알아두기

자신의 치료에 대한 질문이나 우려 사항이 있는 경우 의사 또는 간호사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의사나 간호사에게 물어보세요.

  • 언제 도움이나 조언을 구해야 되는지
  • 누구에게 연락해야 되는지
  • 어떻게 연락해야 되는지 (야간 혹은 주말 포함)

이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에 보관하세요.

메스꺼움 및 구토 관리

메스꺼움과 구토를 예방하거나 통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구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도라도 지시받은 대로 구토방지 약을 복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섭취하는 식품과 음료에 변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가벼운 운동, 명상이나 요가와 같은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구토로 인한 탈수 방지하기

구토는 몸의 수분이 상실되도록 합니다. 이는 심각한 탈수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수분 수치를 유지하려면 물이나 다른 음료를 규칙적으로 섭취하십시오.

탈수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어지럽거나 현기증이 나거나 혼란스럽다
  • 심장 박동이 불규칙적이거나 매우 빠르게 느껴진다
  • 두통이 심하다
  • 소변이 평소에 비해 많지 않거나 매우 어두운 색이다

탈수와 혼란은 빨리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토를 많이 하면 누군가와 함께 있고 탈수증의 징후가 있으면 긴급히 의료 도움을 받도록 하십시오.

심한 메스꺼움

이는 심한 구토와 같은 의학적 응급 상황이 아니지만 여전히 문제입니다. 항상 메스꺼움을 느끼면 적절한 음식과 수분을 섭취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는 몸이 암과 치료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얻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탈수가 초래될 수도 있습니다.

의사 혹은 간호사와 상담하십시오. 이들이 구토방지 약을 바꾸거나 조언을 위해 영양사에게 귀하를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심한 구토

구토가 심해서 액체나 약품 섭취가 가능하지 않다면 의료 처치가 필요합니다.  

제공된 연락처 번호를 사용하세요. 누구에게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가서 진단을 받으세요.

치료 변경

때때로, 증상이 심할 경우 의사는 치료 지연 혹은 변경에 대해 환자와 논의할 수 있습니다.

checklist Checklists

Use our checklists to find helpful tips or questions to ask.

My notes: